우리는 무언갈 이루기 위해 하루 또는 일 주일, 일 년, 길게는 10년 장/단기적인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실행합니다.
하지만 뜻하지 않은 일이나 변수가 생기면서 다양한 시행착오를 겪게 되고 그러면서 우리는 한층 더 성장하게 되고 원하는 것을 이루어 갑니다.
사업을 시작할 때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사업을 시작할때도 어떤 목표를 잡았다면 짧게는 6개월 단기적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차근차근 하나씩 이뤄 나가면서 성장하고 더 큰 목표를 위해 나아가야 합니다.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어떠한 목표나 계획 없이 사업을 시작한다면 몇 개월 안에 쉽게 문을 닫거나 목표와 계획을 세워 시작하는 것보다 더 큰 실행착오와 금전적 손해를 보며 결국 포기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사업'은 남의 호주머니에서 돈을 꺼내게 해야 하는데 그럴만한 충분한 이유나 명분이 필요 한데, 그 이유와 명분을 찾기 위해 적어도 한 번씩은 사업 시작 전에 '사업계획서'를 써보는 걸 권장합니다.
하지만 누구나 하지는 않는 게 바로 사업계획서입니다.
알면서도 어려워서 안 하거나 필요성을 못 느끼고 아예 준비하지 않거나 그래도 준비하자 하고 준비하다 중간에 포기하게 되고 더 안 좋은 것은 다른 사람의 사업계획서를 참고해서 작성하는 것입니다.
쇼핑몰은 내가 내 이름 걸고 사업을 하는 아주 중요한 일입니다.
절대 다른 사람들이 결과에 책임을 져주지 않는 온전한 내 사업입니다.
여기서는 간단한 사업계획서 작성 방법을 적어 봤습니다.
이를 토대로 자신에게 맞는 사업계획서를 작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z5fHG/btricCUOaSk/6jv4GH9IAGkcfK2Lf7wOW1/img.png)
1. 사업계획서 꼭 써야 하나?
쇼핑몰을 시작할 때 보통 1인 체제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사업계획을 하고 안 하고의 차이는 큽니다.
사업계획을 안하고 쇼핑몰 창업을 준비할 경우 언제든 사업계획이나 방향이 달라질 수 있고 그로 인해 불필요한 시간과 투자비용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사업은 여행과 같이 계획을 짜고 하나씩 하려고 하다가도 틀어지는 것이 사업입니다.
하물며 계획 없이 사업을 진행하다 보면 당연히 시행착오로 인해서 불필요한 상황들이 만들어집니다.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인 조정(싱글스컬) 시합을 한다고 생각해 볼까요?
여러 선수의 조정배들이 출반선에 있습니다.
그런데 준비시간에 조정배에 구멍이 난 걸 모르고 시합이 시작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중간에 물이 차는 걸 막을 수도 그렇다고 시합 중간에 배를 새로 바뀔 수도 없고 없는 상황에서 계속 시합을 한다 해도 결과는 하위권 이겠죠.
제대로 체크하고 준비해도 개인의 역량에 따라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출발해도 이길지 질지 모르는 상황에서 소홀하게 생각하거나 준비가 미흡한 상태에서 출발을 했을 때 안 좋은 결과는 본인의 몫으로 돌아옵니다.
이렇듯 사업계획서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점을 꼭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9qgM/btrh1R0FDXr/WNE58MVYj6vkfQnnJbq5UK/img.png)
2. 사업계획서 이것만 꼭 알고 작성하자
■ 너무 앞서 가지 말자
쇼핑몰을 시작하고 성공과 실패의 기로를 정할 때 보통 6개월을 기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물론 장기적으로 생각하고 하는 게 맞지만 다양한 이슈와 빠른 트렌드 변화 등을 고려했을 때 온라인 사업 계획을 1년, 2년 너무 멀리 잡는다면 생각보다 못 미치는결과에 먼저 지치기 쉽습니다.
가능하다면 현실적인 계획으로 너무 멀리 보지 말고 현실성에 맞게 한 달, 두 달 단기적 계획을 먼저 잡아보시기 바랍니다.
만약 그 시기가 지났다면 그때 다시 2차 사업계획서를 중/장기적으로 작성해 보는 게 좋습니다.
■ 자신의 틀에서 벗어나자
사업계획서를 쓰다 보면 자신의 틀에 갇혀서 쓰게 되고 내 생각 계획대로 다 잘될 거라는 생각에 빠지게 됩니다.
그렇게 작성한 사업계획서는 내가 보기에는 완벽합니다.
하지만 나에게 완벽한 사업계획서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사업계획서를 남들이 봤을 때도 납득이 가고 수긍이 가야 합니다.
자신 있게 작성한 사업계획서가 다른 사람이 봤을 때 허무맹랑하거나 인정을 못 봤는 다면 그 사업계획서는 사업계획서가 아니라 미래 계획서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충분히 현실적이고 모든 사람들이 인정할 수 있는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남에게 보여주기 식의 계획서나 남들이 봤을 때 그럴싸하게 만드는 계획서는 지양해야 합니다.
물론 사업계획서의 목적에 따라 차이는 있을 수 있으며 충분히 검토하고 승산이 있다고 판단되는 것에 대해서는 끝까지 확신을 가지되 자신의 틀에만 갇혀서 다른 사람들의 조언이나 도움을 틀리다고 생각하지 말고 받아들이기도 해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AHAsk/btrh9eU5hXw/FZhP8rzAFiPsTAgBlFItlk/img.png)
3. 사업계획서의 간단한 사업개요
사업계획서 개요
1. 사 업 명
- 기본적인 쇼핑몰 관련 내용을 적습니다.
2. 사업 목표 및 개요
- 사업의 목표와 사업계획 방향성의 요약본으로 포 관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음
- 계획하고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단기적 목표부터 잡는다.
- 가능하면 두리뭉실한 목표보다 정확한 수치를 통해 작성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 예) 하루에 최소 1개 제품을 소싱, 3개의 제품을 업로드, 언제까지 매출 얼마 라던지 언제까지 어느 정도 키운다던지.. 등
3. 사업 아이템 시장조사와 분석
사업 목표와 계획을 아무래 잘 수립해도 시장조사와 아이템 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면 그 사업은 시작하지 않는 게 더 좋습니다.
결국 잘 팔리는 제품, 앞으로 잘 팔릴 제품을 소싱해야 돈이 벌리고 사업을 이어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 아이템
- 아이템의 시장성, 마진율, 제품 경쟁력 등 구체적으로 적습니다.
※ 아무리 좋은 아이템도 시장에서 찾지 않으면 팔리지 않습니다. 경쟁력이 낮거나 마진율이 낮다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 아이템 구성, 포장 패키지 방법 등
※ 같은 아이템이라도 다른 구성, 포장 패키지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가 달라질 수 있음
- 경쟁제품 대비 장/단점, 보완점
- 경쟁제품이 나왔을 시 대체 아이템 or 방안
나. 시장조사
- 온라인 시장조사 (아이템스 카우트, 네이버 데이터랩, 판다 랭크, 트렌드 분석 등)
- 오프라인 시장조사 (성별, 나이대별, 집단군으로 많이 찾고 팔리는 제품 등)
- 정확한 수치와 규모 파악하기 힘들지만 시장조사로 앞으로의 수요와 가능성 등을 가늠하고 파악
- 시장조사는 가능하면 많이 할수록 좋고 쇼핑몰 창업 후에도 계속해야 하는 부분
다. 고객 분석
- 우리의 목표 고객은 누구이고,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
- 고객의 요구 사항과 이용형태 파악
- 제품에 어느 정도 돈을 지불할 수 있을지, 제품의 필요성이 있을지 파악
- 고객 분석을 통해서 타기팅을 보다 세분화해 사업의 방향이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마. 경쟁사 분석
- 경쟁사를 가능하면 여러 가지 방향으로 분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우리 제품의 개선점이나 차별화 요소를 찾아내고 경쟁우위 요인과 성장 잠재력을 판단할 수 있음
- 경쟁력이 떨어지는 부분에 대해 대응전략을 수립, 경쟁력 있는 부분을 더욱 강조할 수 있습니다.
- 누구에게(Target), 무엇을(value),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판매촉진(Promotion) 분석
![](https://blog.kakaocdn.net/dn/bQKWfb/btriaT3IjTf/PSdg8MF9nwfkDSksHNPgfk/img.png)
4. 운영계획
- 1주 차, 2주 차 식으로 창업 준비단계를 정리하고 진행
- 쇼핑몰 오픈 후 진행할 상항을 하루, 주 단위, 월 단위로 계획
- 자금 계획이나 홍보 마케팅 수단, 그리고 운영 이념까지 같이 작성해 봅니다.
5. 쇼핑몰 오픈 진행
- 전반적인 준비가 끝났다면 적어도 2달에서 늦어도 3달 안에는 쇼핑몰 오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아무리 잘 준비하고 공부했더라도 막상 실제 상황에서는 당황하기 마련입니다.
- 다양한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막히는 부분이 생기면 다시 배우고 풀어 나가면 됩니다.
※ 쇼핑몰 창업 시 전반적인 과정 정리
• 쇼핑몰 구축 계획 - 쇼핑몰 구축비용, 도메인 확보, PG사, 에스크로, 보증보험 등 기본적인 계획내용을 적는다.
• 쇼핑몰 운영 계획 - 쇼핑몰 운영에 전반적인 계획과 CS관리에서 생각대로 되지 않았을 시 2차 대안 등을 적는다.
• 마케팅 전략 계획 - 광고 방법과 광고비용 등 전략을 짭니다. 초기, 중기로 나누어 구체적인 광고 집행비용을 적는다.
• 자금 및 인원 운용 계획 - 예산과 지출비용을 적고 디자인, 배송, 상품 사입, 촬영 등 구체적인 인원 운영 방법을 적는다.
그리고 오늘 정리해본 내용을 참고하셔서 작성하고 수정하고 하시다 보면 자신이 계획 중인 사업에 대해서도 다시 한번 점검해보는 시간을 가질 수도 있고 더욱 체계화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잘 만든 사업계획서는 쇼핑몰 창업뿐 아니라 쇼핑몰을 창업하고 운영하면서 초심을 잃지 않고 슬럼프에 빠졌을 때 한 번씩 보면 동기부여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사업계획서를 잘 만들어 보시시고 앞으로의 사업의 길잡이가 될 수 있도록 잘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yaDR/btriaRx3Pvh/TS6oI2arBnage1ZMDgIT2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FrGK8/btrh7w9Qq5c/ABGjZuZZ2dNVR3hiHvW1Kk/img.jpg)
'온라인창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스토어(전자상거래 소매업) 간이사업자 현금영수증 의무발행 (0) | 2021.10.21 |
---|---|
폐업할때 폐업지원금 희망리턴패키지 신청해서 도움 받으세요. (0) | 2021.10.20 |
스마트스토어/ 쿠팡/ 11번가/ 지마켓 정산주기, 빠른정산 (0) | 2021.10.15 |
위탁판매 도매사이트 모음 (B2B, 도매몰) (0) | 2021.10.14 |
스마트 스토어,오픈마켓( 쿠팡, 11번가, 지마켓) 판매 수수료 (0) | 2021.10.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