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전속도50302 범칙금과 과태료 차이? 제대알고 납부하자!! 범칙금과 과태료 차이? 제대알고 납부하자!! 우리나라에서 인구수 대비 자동차 소지 율은 인당 1.5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운전을 하면서 안전 운전과 도로교통법을 잘 지켜 위반 고지서를 받지 않는게 가장 좋지만 신호를 위반하거나 과속, 주정차 위반으로 고지서를 처음 받아 보시거나 과거에 위반 고지서를 받으시고 범칙금 과태료를 내보셨을 거예요. 그런데 이 위반 고지서 제대로 알고 납부 하셨나요? 아마 운전 경력이 얼마 되지 않거나 운전 경력이 많으셔도 도로교통법 위반으로 위반 고지서를 받게 되면 범칙금 과 과태료 하나를 선택해서 납부를 하게 됩니다. 그런데 범칙금이 과태료보다 금액이 낮기 때문에 모르시는 분들은 돈을 아끼려는 생각에 범칙금을 선택해 내.. 사회경제 2021. 3. 29. "안전속도 5030" 과 속도위반 범칙금, 과태료 부과기준 "안전속도 5030" 과 속도위반 범칙금, 과태료 부과기준 "안전속도 5030" 21. 4월 도시부 속도하향 '안전속도 5030'이 전국 시행 일반도로 50km/h (보행통행이 많은 도시부 도로) [주거·상업·공업지역] 주택가 등이면도로 30km/h 주택가 주변, 어린이, 노인,자애인 보호구역 등 보행자 안전이 필요한 지역 원활한 도로소통이 필요한 경우 60km/h 가능 (지방경찰청장이 필요하다고 지정한 도로) 국제연합과 세계보건기구는 도심 지역 최고 속도 시속 50km 이하 적용을 권고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교통안전 종합대책(2018년~2020년)을 수립했고 2019년4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이 개정돼 2021년 4월 17일부터 전격 시행됩니다. '안전속도 5030'은 운전자 처벌을 위한 정책이 아닌.. 사회경제 2021. 3. 25. 이전 1 다음 💲 추천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