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내역서 발급하기

굼궁이 2021. 9. 4.
반응형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이력 확인과 발급방법을 알아보자

 

  • 고용/산채 보험자격 이력 내역 확인
  • 인터넷 발급하기

고용 보험이란?

고용보험은 사용자(고용주)의 사정이나 피보험자(근로자)의 불가피한 사유로 직장을 잃게 된 경우 피보험자의 구직활동 및 재교육을 지원하는 사회 보험이다.

 

실직 시 본인이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을 조건으로 가입기간에 따라 최소 120일, 최장 270일 동안 실업급여를 지원받을 수 있다.

 

참고로 실업급여 수급자가 아니여도 본인이 구직자며 신규/재취업을 원한다면 취업 알선과 직무 교육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건강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과 함께 대한민국의 4대 보험에 해당된다.

1998년 10월 1일부터 '고용 보험 적용 제외 대상의 사업주와 사업장을 제외'하고 1인 이상의 근로자가 있는 사업주는 의무적으로 고용보험에 가입 하여야 합니다.

 

고용 보험 적용 제외 대상의 사업주와 사업장

  • 농업, 임업 및 어업 중 법인이 아닌 자가 상시 4명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 가구 내 고용활동 및 달리 분류되지 아니한 자가 소비 생산활동
  • 건설업자 등이 아닌 자가 시공하는 총공사금액 2천만원 미만인 공사, 연면적 100제곱미터 이하인 건축물의 건축
  • 또는 연면적이 200제곱미터 이하인 건축물의 대수선에 관한 공사


"고용보험자격 이력 내역서" 왜 필요하지?

고용보험은 근로자에게 중요한 보험이기에 고용보험이 제대로 가입 되었는지, 가입되었다면 몇 월, 며칠 가입이 됐는지, 등등 궁금해 본인이 직접 확인할 수 있지만

 

보통 회사에서는 근로자의 경력을 확인하는 서류가 될 수 있고, 비 자발적 퇴사로 실업급여 신청 시, 전세자금 대출을 받거나 할 때 요청으로 필요할 경우가 생깁니다.

 

그리고 실업급여 신청시 "고용보험자격 이련 내역서"의 취득, 상실일은 실업급여 수급 조건에서 중요한 조건이 되기도 하고 '부정 수급'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도 됩니다.

 

그럴 때 "고용보험자격 이력 내역서" 서류를 개인이 직접 고용 산재보험 토털 서비스에서 확인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고용보험자격 이력 내역서"에는 어떤 내용들이 있나요?

 

아래 이미지처럼 과거부터 현재까지 본인의 고용보험 등록, 상실일 모든 내역들이 나옵니다.

 


"고용보험자격 이력 내역서"확인/발급하는 방법

이제  "고용보험자격 이력 내역서"를 인터넷으로 확인/발급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그전에 "공인인증서" 반드시 필요합니다.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total.kcomwel.or.kr

 

1.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합니다.

 

2. "고용/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클릭

3. "고용"에 마우스로 체크하고 "조회"를 클릭

4. 밑으로 내리면 자신의 "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이 나오게 됩니다. 

5. 왼쪽 선택에서  "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을 선택

 

6. 신청을 눌러 인쇄 출력 또는 간편하게 메일 전송을 합니다.

 

지금까지 고용보험에 대해 알아봤고 간편하게 "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를 확인 발급 나는 방법까지 알아봤습니다.

 

인터넷 사용이 어렵거나 불가능하다면 전화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근로복지공단 1588-0075

상담사 연결 후 팩스나, 메일로 요청(본인만 신청 가능)

 

 

 

 

 

반응형

댓글

💲 추천 글